사용 용이성
- jspdf:
간단한 API를 제공하여, 기본적인 PDF 생성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react-pdf:
React의 컴포넌트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여 PDF를 렌더링할 수 있어, React 애플리케이션과의 통합이 용이합니다.
- pdfmake:
JSON 기반의 문서 정의를 사용하여 복잡한 문서를 쉽게 생성할 수 있지만, 초기 설정이 다소 복잡할 수 있습니다.
- @react-pdf/renderer:
React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PDF 문서를 구성할 수 있어, React 개발자에게 친숙한 방식으로 PDF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기능성
- jspdf:
텍스트, 이미지, 도형 등을 PDF에 추가할 수 있으며, HTML 요소를 PDF로 변환하는 기능도 지원합니다.
- react-pdf:
PDF 문서를 React 컴포넌트로 렌더링할 수 있어, 기존의 UI와 통합하여 동적인 PDF 뷰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 pdfmake:
복잡한 레이아웃과 스타일링을 지원하며, 다양한 폰트와 템플릿을 사용할 수 있어 고급 PDF 문서 생성에 적합합니다.
- @react-pdf/renderer:
PDF 문서 내에서 다양한 스타일과 레이아웃을 지원하며, React의 상태 관리와 props를 활용하여 동적인 PDF 생성이 가능합니다.
성능
- jspdf:
클라이언트 측에서 PDF를 생성하기 때문에, 대량의 데이터 처리 시 성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react-pdf:
PDF 파일을 클라이언트 측에서 직접 렌더링하므로, 대량의 데이터 처리 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pdfmake:
복잡한 문서 구조를 지원하지만, 문서가 커질수록 렌더링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react-pdf/renderer:
React의 가상 DOM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렌더링을 지원하지만, 복잡한 문서의 경우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커스터마이징
- jspdf:
기본적인 템플릿을 제공하지만, 고급 커스터마이징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 react-pdf:
React의 특성을 그대로 활용하여, 컴포넌트를 통해 PDF 문서의 구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 pdfmake:
JSON 기반의 문서 정의를 통해 매우 유연하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으며, 다양한 스타일과 레이아웃을 지원합니다.
- @react-pdf/renderer:
React의 컴포넌트 구조를 활용하여, 사용자 정의 컴포넌트를 만들어 PDF 문서의 구조를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지원하는 형식
- jspdf:
PNG, JPEG와 같은 다양한 이미지 형식을 지원하며, HTML 요소를 PDF로 변환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 react-pdf:
PDF 문서를 React 컴포넌트로 렌더링할 수 있어,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pdfmake:
다양한 폰트와 스타일을 지원하여, 복잡한 문서 형식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react-pdf/renderer:
PDF 문서 생성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다양한 텍스트 및 이미지 형식을 지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