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원칙
- aws-cdk:
AWS CDK는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하는 Infrastructure as Code(IaC) 원칙을 따릅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AWS 리소스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정의하고, 코드 리뷰 및 버전 관리를 통해 인프라 변경 사항을 쉽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 serverless:
Serverless는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며, 이벤트 중심의 설계를 채택합니다. 이는 개발자가 서버를 관리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게 하여, 자동으로 확장되고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유지 관리
- aws-cdk:
AWS CDK는 코드 기반으로 인프라를 관리하기 때문에, 코드 변경을 통해 쉽게 인프라를 업데이트하고 유지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CDK는 AWS의 최신 기능을 빠르게 통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 serverless:
Serverless는 서버 관리의 필요성을 없애주기 때문에,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특성상, 특정 서비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학습 곡선
- aws-cdk:
AWS CDK는 코드로 인프라를 정의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기존에 IaC 도구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개발자에게는 친숙할 수 있지만,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다소 높은 학습 곡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
- serverless:
Serverless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설정으로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 관리에 대한 경험이 없는 개발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확장성
- aws-cdk:
AWS CDK는 AWS의 모든 서비스와 통합되어 있어,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에 따라 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CDK를 사용하면 복잡한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하고, 필요에 따라 리소스를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 serverless:
Serverless는 이벤트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트래픽이 증가할 때 자동으로 확장됩니다. 이는 사용자가 서버를 관리할 필요 없이,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확장되도록 합니다.
비용 효율성
- aws-cdk:
AWS CDK는 사용한 리소스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는 모델을 지원합니다. 그러나, 복잡한 인프라를 구성할 경우 관리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serverless:
Serverless는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서버리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어, 초기 비용이 적고, 트래픽에 따라 비용이 변동됩니다. 이는 작은 프로젝트나 스타트업에 매우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