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싱 알고리즘
- pbkdf2:
pbkdf2는 비밀번호 기반 키 유도 함수로, 소금(salt)과 반복 횟수를 통해 보안성을 높입니다. 이 방식은 비밀번호 해싱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 crypto-js:
crypto-js는 SHA, MD5, AES 등 다양한 해싱 및 암호화 알고리즘을 지원합니다. 이로 인해 다양한 보안 요구 사항에 맞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bcrypt:
bcrypt는 Blowfish 암호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며, 비밀번호 해싱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해싱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보안 수준을 높일 수 있습니다.
- scrypt-js:
scrypt-js는 메모리 집약적인 해싱 알고리즘으로, 비밀번호 해싱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높은 메모리 요구 사항으로 인해 공격자가 대량의 해시를 계산하기 어렵습니다.
보안성
- pbkdf2:
pbkdf2는 반복 횟수를 조절하여 해싱의 강도를 높일 수 있어, 보안성이 뛰어납니다. 소금(salt)을 사용하여 동일한 비밀번호에 대해 매번 다른 해시를 생성합니다.
- crypto-js:
crypto-js는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한 보안 수준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구현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bcrypt:
bcrypt는 느린 해싱 속도로 인해 브루트 포스 공격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금(salt)을 사용하여 동일한 비밀번호라도 매번 다른 해시를 생성합니다.
- scrypt-js:
scrypt-js는 메모리 집약적인 특성으로 인해 해시 계산을 어렵게 만들어, 공격자가 대량의 해시를 계산하기 힘들게 합니다.
사용 용도
- pbkdf2:
비밀번호 해싱에 주로 사용되며, 보안성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 crypto-js:
데이터 암호화, 해시 생성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연성이 높습니다.
- bcrypt:
주로 비밀번호 해싱에 사용되며, 데이터베이스에 안전하게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데 적합합니다.
- scrypt-js:
비밀번호 해싱에 적합하며, 메모리 기반 보안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성능
- pbkdf2:
반복 횟수를 조절하여 성능과 보안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반복 횟수가 많을수록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crypto-js:
다양한 알고리즘을 제공하지만, 특정 알고리즘의 성능은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bcrypt:
해싱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성능이 중요한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보안성을 높이는 데 유리합니다.
- scrypt-js:
메모리 요구 사항이 높아 성능이 떨어질 수 있지만, 보안성이 뛰어난 해싱을 제공합니다.
사용 편의성
- pbkdf2:
API가 직관적이며, 비밀번호 해싱에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crypto-js: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용법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 bcrypt:
사용하기 간편하며, 비밀번호 해싱에 최적화된 API를 제공합니다.
- scrypt-js:
API가 간단하여 사용하기 쉽지만, 메모리 요구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