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ss vs styled-jsx vs styled-components vs emotion
"웹 스타일링 라이브러리" npm 패키지 비교
3 년
sassstyled-jsxstyled-componentsemotion유사 패키지:
웹 스타일링 라이브러리란?

웹 스타일링 라이브러리는 CSS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입니다. 이 라이브러리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개발자들이 더 효율적으로 UI를 디자인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게 해줍니다. 각 라이브러리는 고유한 기능과 장점을 가지고 있어, 프로젝트의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npm 다운로드 트렌드
GitHub Stars 순위
통계 세부사항
패키지
다운로드
Stars
크기
Issues
발행일
라이선스
sass16,763,452
4,1205.71 MB8115日前MIT
styled-jsx13,158,535
7,7771.03 MB834ヶ月前MIT
styled-components6,619,210
40,8821.77 MB3262ヶ月前MIT
emotion729,570
---5年前MIT
기능 비교: sass vs styled-jsx vs styled-components vs emotion

스타일링 방법

  • sass:

    Sass는 CSS 전처리기로, 기존 CSS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변수, 믹스인, 중첩 등을 통해 더 구조화된 스타일을 작성할 수 있으며, CSS 파일을 컴파일하여 최종 CSS를 생성합니다.

  • styled-jsx:

    Styled-jsx는 JSX 문법 내에서 스타일을 정의할 수 있는 CSS-in-JS 라이브러리입니다. 각 컴포넌트에 대한 스타일을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전역 스타일 충돌을 방지합니다.

  • styled-components:

    Styled-components는 CSS-in-JS 방식으로, 각 컴포넌트에 스타일을 직접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며, props를 통해 동적 스타일링이 가능합니다.

  • emotion:

    Emotion은 CSS-in-JS 방식으로, JavaScript 파일 내에서 스타일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적인 스타일링이 가능하며, props를 통해 스타일을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성능

  • sass:

    Sass는 CSS를 미리 컴파일하여 최적화된 CSS 파일을 생성합니다. 이로 인해 런타임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스타일 시트의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 styled-jsx:

    Styled-jsx는 컴포넌트 단위로 스타일을 관리하므로, 필요한 스타일만을 로드하여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그러나 런타임 성능은 다른 CSS-in-JS 라이브러리에 비해 다소 낮을 수 있습니다.

  • styled-components:

    Styled-components는 런타임에 스타일을 생성하지만, 최적화된 CSS를 생성하여 성능을 유지합니다. 또한, 스타일을 캐싱하여 불필요한 재렌더링을 방지합니다.

  • emotion:

    Emotion은 성능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설계되었습니다. 스타일을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필요한 스타일만을 로드하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유지보수

  • sass:

    Sass는 변수와 믹스인을 사용하여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입니다. 이를 통해 스타일 시트를 더 구조화하고,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 styled-jsx:

    Styled-jsx는 각 컴포넌트에 대한 스타일을 독립적으로 관리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스타일이 전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변경 시 다른 컴포넌트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styled-components:

    Styled-components는 스타일을 컴포넌트와 함께 정의하므로, 코드의 모듈성이 높아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또한, 스타일이 컴포넌트에 국한되어 있어, 변경 시 다른 컴포넌트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emotion:

    Emotion은 스타일을 컴포넌트와 함께 정의하므로, 코드의 가독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스타일이 해당 컴포넌트에 국한되기 때문에, 변경 시 다른 부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학습 곡선

  • sass:

    Sass는 CSS에 대한 기본 지식이 있다면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변수와 믹스인 등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익숙해지면 코드 작성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 styled-jsx:

    Styled-jsx는 Next.js와 함께 사용되므로, Next.js에 대한 기본 지식이 있다면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JSX 문법 내에서 스타일을 정의하는 방식이 직관적이어서 학습이 용이합니다.

  • styled-components:

    Styled-components는 CSS-in-JS 방식에 익숙한 개발자라면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React와의 통합이 자연스러워, 기존 React 개발자에게는 학습 곡선이 낮습니다.

  • emotion:

    Emotion은 CSS-in-JS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개발자에게는 다소 학습 곡선이 있을 수 있지만, React와의 통합이 매끄럽기 때문에 빠르게 익힐 수 있습니다.

디자인 원칙

  • sass:

    Sass는 코드의 재사용성과 구조화를 중시하는 디자인 원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변수와 믹스인을 통해 코드의 중복을 줄이고, 더 관리하기 쉬운 스타일 시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styled-jsx:

    Styled-jsx는 각 컴포넌트에 대한 스타일을 독립적으로 정의하는 디자인 원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역 스타일 충돌을 방지하고, 컴포넌트의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styled-components:

    Styled-components는 컴포넌트 기반의 디자인 원칙을 따릅니다. 스타일을 컴포넌트와 함께 정의하여, UI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코드의 모듈성을 높입니다.

  • emotion:

    Emotion은 유연성과 성능을 중시하는 디자인 원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타일을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 맞춰 스타일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선택 방법: sass vs styled-jsx vs styled-components vs emotion
  • sass:

    Sass는 CSS 전처리기로, 복잡한 스타일 시트를 관리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변수, 중첩, 믹스인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더 구조화된 스타일링을 가능하게 합니다. 기존 CSS와의 호환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기존 프로젝트에 쉽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 styled-jsx:

    Styled-jsx는 Next.js와 함께 사용되는 CSS-in-JS 라이브러리로, 컴포넌트 단위로 스타일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스타일이 해당 컴포넌트에만 적용되도록 하여, 전역 스타일 충돌을 방지합니다. 간단한 문법으로 빠르게 스타일을 작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styled-components:

    Styled-components는 CSS-in-JS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컴포넌트 기반의 스타일링을 제공합니다. React와의 통합이 매끄럽고, 스타일을 컴포넌트와 함께 정의하여 코드의 모듈성을 높입니다. 또한, 동적 스타일링이 가능하여, props에 따라 스타일을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 emotion:

    Emotion은 CSS-in-JS 라이브러리로, 동적 스타일링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React와의 통합이 뛰어나며, 성능이 우수합니다. 스타일을 컴포넌트에 직접 작성할 수 있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