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ru-cache vs node-cache vs memory-cache vs node-persist
"웹 캐시 라이브러리" npm 패키지 비교
1 년
lru-cachenode-cachememory-cachenode-persist유사 패키지:
웹 캐시 라이브러리란?

웹 캐시 라이브러리는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도구입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는 데이터베이스나 외부 API 호출의 빈도를 줄여 응답 시간을 단축시키고, 서버의 부하를 줄이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각 라이브러리는 특정 사용 사례와 요구 사항에 맞춰 설계되어 있어, 개발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라이브러리를 선택해야 합니다.

npm 다운로드 트렌드
GitHub Stars 순위
통계 세부사항
패키지
다운로드
Stars
크기
Issues
발행일
라이선스
lru-cache204,716,3125,520820 kB1122日前ISC
node-cache3,582,7682,316-745年前MIT
memory-cache900,9981,602-328年前BSD-2-Clause
node-persist109,99672940.1 kB173ヶ月前MIT
기능 비교: lru-cache vs node-cache vs memory-cache vs node-persist

캐시 전략

  • lru-cache:

    LRU 캐시는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제거하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하고,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 node-cache:

    TTL을 설정하여 데이터의 유효 기간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캐시된 데이터가 자동으로 만료되어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memory-cache:

    메모리 캐시는 단순히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사용이 간편하지만, 데이터가 휘발성입니다.

  • node-persist:

    디스크 기반 저장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합니다. 메모리와 파일 시스템을 결합하여 데이터의 지속성을 보장합니다.

사용 용이성

  • lru-cache:

    API가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LRU 캐시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습니다. 사용하기 쉽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 node-cache:

    TTL 설정과 같은 추가 기능이 있지만, 기본적인 사용법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다소 복잡한 기능이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

  • memory-cache:

    가장 간단한 형태의 캐시로, 별도의 설정 없이 즉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에게 적합합니다.

  • node-persist:

    비동기 API를 제공하여 비동기 작업에 적합하지만, 디스크 저장소를 다루기 때문에 사용법이 다소 복잡할 수 있습니다.

성능

  • lru-cache: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므로 빠른 성능을 제공합니다. LRU 알고리즘을 통해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유지하여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 node-cache:

    TTL을 통해 캐시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관리하므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에 대해 빠른 접근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TTL 만료로 인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memory-cache:

    메모리 기반이므로 매우 빠른 성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데이터가 휘발성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저장이 필요할 경우 적합하지 않습니다.

  • node-persist: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메모리 캐시보다 느릴 수 있지만, 데이터의 지속성을 보장합니다. 대량의 데이터를 다룰 때 유리합니다.

데이터 영속성

  • lru-cache:

    메모리 기반이므로 데이터가 휘발성이며,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데이터가 사라집니다. 영속성이 필요할 경우 다른 솔루션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 node-cache:

    TTL 설정으로 데이터의 유효성을 관리하지만, 메모리 기반이므로 영속성이 없습니다. 데이터가 사라지는 것을 감안해야 합니다.

  • memory-cache:

    데이터가 메모리에만 저장되므로 영속성이 없습니다. 휘발성 데이터에 적합합니다.

  • node-persist: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영속성을 보장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어도 데이터가 유지됩니다.

확장성

  • lru-cache:

    메모리 사용량이 제한적이므로 대규모 데이터셋을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LRU 알고리즘을 통해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에 대해 빠른 접근이 가능합니다.

  • node-cache:

    TTL 기능을 통해 데이터의 유효성을 관리할 수 있어, 중간 규모의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메모리 사용량에 따라 확장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 memory-cache:

    단순한 구조로 인해 확장성이 제한적입니다. 대규모 데이터셋을 처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node-persist:

    디스크 기반 저장소를 사용하므로 대규모 데이터셋을 처리하는 데 적합합니다. 메모리와 파일 시스템을 결합하여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선택 방법: lru-cache vs node-cache vs memory-cache vs node-persist
  • lru-cache:

    LRU(Least Recently Used) 캐시가 필요한 경우, 즉 가장 최근에 사용된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유지하고 오래된 데이터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메모리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node-cache:

    TTL(Time To Live)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데이터의 유효 기간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캐시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메모리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memory-cache:

    단순한 메모리 캐시가 필요하고, 데이터가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사라져도 괜찮은 경우에 적합합니다. 간단한 API를 제공하여 사용이 용이합니다.

  • node-persist:

    디스크에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해야 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메모리와 파일 시스템을 결합하여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으며, 비동기 API를 제공하여 비동기 작업에 유리합니다.